일본의 고속도로는 고속자동차국도와 자동차전용도로로 정의되며, 관련 법령에 따라 통행 조건 및 차량 제한이 적용된다. 195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인 건설이 시작되어 전국적인 고속도로망이 구축되었고, 2016년부터는 고속도로 넘버링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고속도로 건설은 경제성, 원활성, 안전성,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자연 및 주거 환경 훼손, 소음 문제, 높은 건설 비용, 교통사고 위험 등의 악영향도 있다. 건설 비용은 유료도로 제도를 통해 충당되며, 요금 수입으로 상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교통 체계 - 아우토반 아우토반은 1920년대에 구상되어 나치 시대에 본격적으로 건설된 독일의 고속도로로,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며 현재는 속도 제한 구간과 비제한 구간으로 운영된다.
교통 체계 - 주간고속도로 주간고속도로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주도로 1956년 도입된 미국의 고속도로 체계로, 교통 수요 대처와 국가 방위 강화 목적을 가지며 미국 전역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고속도로 체계이다.
나라별 고속도로 - 아우토반 아우토반은 1920년대에 구상되어 나치 시대에 본격적으로 건설된 독일의 고속도로로,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며 현재는 속도 제한 구간과 비제한 구간으로 운영된다.
나라별 고속도로 - 중화민국의 일반 국도 중화민국의 일반 국도는 1964년 최초의 고속도로 개통 이후 남북 및 동서 방향의 다양한 노선으로 발전해 왔으며, 유료가 일반적이지만 공공성 및 기능적 중요성으로 무료 구간도 존재한다.
일본의 고속도로 - 게이요 도로 게이요 도로는 도쿄와 지바를 연결하는 일본의 유료 도로이며, 국도 14호선과 16호선을 포함하고 자동차 전용도로와 일반 도로 구간으로 나뉘며 동일본 고속도로가 관리한다.
일본의 고속도로 - 니시세토 자동차도 니시세토 자동차도는 히로시마현과 에히메현 사이의 섬들을 연결하는 시마나미 해도의 자동차 전용 도로로, 여러 개의 다리로 이루어져 혼슈와 시코쿠를 육상으로 연결하며, 자전거와 보행자 전용 도로가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고 지역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일부 구간은 아직 미개통 상태이다.
일본의 고속도로
개요
일본 전국 고속도로 지도
명칭
고속도로 (高速道路, kōsoku-dōro)
별칭
자동차도 (自動車道, jidōsha-dō)
설명
"고속도로"는 "고속 도로"를, "자동차도"는 "자동차 도로", "고속도로", "간선도로" 또는 "자동차 도로"를 의미한다.
# 도로법 제48조의 4에 규정하는 자동차전용도로(동법 제48조의 2 제2항의 규정에 의해 도로의 부분으로 지정을 받은 것에 있어서는, 당해지정을 받은 도로의 부분 이외의 도로의 부분 가운데 국토교통성령으로 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및 이것과 동등한 규격 및 기능을 소유하는 도로(일반국도, 도도부현도 또는 동법 제7조 제3항에 규정하는 지정시의 시도인 것에 한한다. 이하 "자동차전용도로등"이라고 총칭한다. )
도로교통법 제108조의 28에 근거하는 국가공안위원회의 고시인 교통의 방법에 관한 교칙(1978년10월 30일 국가공안위원회고시 제3호, 최종개정 2004년8월 27일) 제7장에서는 고속도로를 "고속 자동차 국도와 자동차 전용 도로"로 정의한다. 고속도로에서는 미니카, 소형 이륜차 (총배기량 125cc 이하), 원동기 부착 자전거는 통행할 수 없다. 또한, 농경용 작업차와 같이 구조상 매시 50킬로미터 이상의 속도가 나오지 않는 자동차나 다른 차를 견인하고 있기 때문에 매시 50킬로미터 이상의 속도로 달릴 수 없는 자동차도 고속 자동차 국도를 통행할 수 없다.
2. 1. 일본의 법령상 정의
일본은 법령상 고속도로의 정의에 대해 몇 가지 규정을 두고 있다.
고속도로주식회사법 (2004년6월 9일 법률 제99호) 제2조 제2항에서는 "고속도로"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도로법 제48조의 4에 규정하는 자동차전용도로(동법 제48조의 2 제2항의 규정에 의해 도로의 부분으로 지정을 받은 것에 있어서는, 당해지정을 받은 도로의 부분 이외의 도로의 부분 가운데 국토교통성령으로 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및 이것과 동등한 규격 및 기능을 소유하는 도로(일반국도, 도도부현도 또는 동법 제7조 제3항에 규정하는 지정시의 시도인 것에 한한다. 이하 "자동차전용도로등"이라고 총칭한다. )
도로교통법 제108조의 28에 근거하는 국가공안위원회의 고시인 교통의 방법에 관한 교칙(1978년10월 30일 국가공안위원회고시 제3호, 최종개정 2004년8월 27일) 제7장에서는 고속도로를 "고속자동차국도와 자동차전용도로"로 정의한다. 고속도로에서는 미니카(마이크로카), 총배기량 125cc 이하의 보통자동이륜차(소형자동이륜차), 원동기부자전거는 통행할 수 없다. 또한 농경용작업차와 같이 구조상 매시 50km 이상의 속도가 나오지 않는 자동차나 다른 차를 견인하고 있어 매시 50km 이상의 속도로 달릴 수 없는 자동차도 고속자동차국도를 통행할 수 없다.
2. 2. 한국의 법령상 정의
3. 필요조건 및 통행조건
도로구조령으로 제1종, 제2종에 구분하는 도로가 고속도로이지만 예외적으로 제3종, 제1급의 도로를 출입제한을 해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하고 있는 도로도 있다.[7]
자동차(125cc를 넘는 자동이륜을 포함한다)의 통행에 한한다. 보행자, 경차량, 미니카(마이크로카), 125cc이하의 자동이륜, 원동기부자전거는 통행할 수 없다.(고속자동차국도 및 최저속도 제한이 있는 자동차전용도로에서는 소형특수자동차나 다른 차를 견인하고 있는 자동차 등 50km/h이상의 속도를 낼 수 없는 자동차도 통행불가)[7]
자동이륜에 관해서는 2005년의 법 개정에 따른 2인 승차의 금지가 해제되었다. 20세이상, 보통이륜면허 또는 대형이륜면허을 받고 있었던 기간이 3년 이상이라면 운전자 이외의 동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도 고속도로 통행이 가능하다.(수도고속도로의 일부구간은 제외)[7]
고속도로에서 사용되는 가변 속도 제한 표지판. 왼쪽 표지판은 대형 트럭, 트레일러가 부착된 차량 및 삼륜차의 제한 속도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대형 트럭의 속도 제한은 2024년 4월부터 80km/h에서 90km/h로 상향되었습니다.
대부분의 고속도로는 중앙 분리대(median)가 있는 4차선 도로이다. 주요 도시 지역에 근접한 일부 고속도로는 6차선이며, 농촌 지역에서는 비분리 2차선 고속도로로 건설된다. 2차선 고속도로 구간은 향후 4차선으로 전환할 수 있는 표준으로 건설된다.[7]
기본 속도 제한은 비분리 고속도로에서 70km/h, 분리 고속도로에서는 (더 낮은 속도가 게시되지 않는 한) 120km/h이다. 그러나 GVWR 3.5톤 초과 버스 및 GVWR 3.5톤 초과 8톤 이하 트럭의 경우 100km/h, GVWR 8톤 초과 트럭의 경우 90km/h, 트레일러가 부착된 차량 및 삼륜차의 경우 80km/h이다(트럭의 속도 제한이 90km/h로 상향되기 전인 2024년 4월까지는 8톤 초과 트럭의 경우). 트랙터나 모페드와 같이 50km/h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없는 차량은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없다.[8] 가변 속도 제한도 대부분의 고속도로에서 시행되며, 열악한 운전 조건으로 인해 속도가 일시적으로 감소한다.
주차장 (일반적으로 화장실이나 작은 상점만 있음) 및 휴게소 (일반적으로 레스토랑 및 주유소와 같은 더 많은 편의 시설이 있음)와 같은 많은 휴식 시설이 국도 고속도로를 따라 여행하는 사람들에게 제공된다.[7]
4. 분류
일본의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9]
고규격 간선 도로
고속 자동차 국도 (A 노선)
고속 자동차 국도법 제4조에 의거하여 고속 자동차 국도의 노선을 지정하는 정령으로 지정되는 노선이다. 원래 국도의 건설 및 관리는 도로 관리자인 국토교통대신이 수행하지만, 신 직할 구간을 제외하고 고속 자동차 국도는 법령에 따라 동일본 고속도로, 중일본 고속도로, 서일본 고속도로 3개 민간 회사에게 위임되어 있다.
국토 개발 간선 자동차도 (국간도): 국토 개발 간선 자동차도 건설법에 의거하여 건설할 예정인 고규격 간선 도로 중 하나이다. 현재 총 거리는 미개통 구간을 포함하여 11,520km이다. 예정 노선 중 기본 계획이 결정된 구간부터 순차적으로 정령에 의해 고속 자동차 국도의 노선으로 지정한다.
고속 자동차 국도로 건설해야 할 도로의 예정 노선 중 정령으로 지정된 것: 나리타 국제공항선, 간사이 국제공항선, 간몬 자동차도, 오키나와 자동차도의 4개 노선이 지정되어 있다.
고속 자동차 국도에 병행하는 일반 국도 자동차 전용 도로 (A' 노선): 고속 자동차 국도로 정비되는 노선 중 전 구간 정비의 필요성은 낮지만, 부분적으로 병행하는 구간의 혼잡 완화와 산간부 도로의 험난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일반국도의 일부 구간에 대해 선행 정비한 노선을 일컫는다. 고속 자동차 국도에 편입되는 일도 있으며, 세금과 각 고속도로 회사에서 건설비를 투입하여 건설하는 노선이다.
국토교통대신 지정에 근거한 고규격 간선 도로(일반 국도의 자동차 전용 도로) (B 노선): 일본 도로법 제48조 2항에 근거하여 국토교통 대신이 지정한 노선을 일컫는다.
혼슈 시코쿠 연락 도로: B 노선에 준한다.
지역 고규격 도로
도시권 자동차 전용 도로: 도시 고속도로 급의 중요 노선.
일반: 도시권 자동차 전용 도로를 제외한 모든 노선.
그 밖의 기타 노선: 이상의 분류에서 지정되지 않은 자동차 전용 도로 노선.
고속도로의 종류 및 건설 방식이 복잡해진 배경으로, 성간의 이해 대립 및 건설 비용의 조달 방법 차이 등이 거론된다.
4. 1. 한국의 고속도로 분류
5. 각 노선의 명명 규칙
일반적으로 '''고속도로'''(고소쿠도로/高速道路일본어), 또는 단순히 '''고속'''(고소쿠/高速일본어)이라고 불린다. 노선명은 정확히는 영업 노선명과 법정 노선명으로 나뉜다. 예컨대, 도메이 고속도로의 경우, 영업 노선명은 도메이 고속도로(약칭 도메이 고속, 도메이)이나, 법정 노선명은 제1도카이 자동차도이다.[51]도호쿠 자동차도의 경우, 영업 노선명은 도호쿠 자동차도(약칭 도호쿠도)이지만, 법정 노선명은 도호쿠 종관 자동차도 히로사키 선이다.
고규격 간선 도로로 정의된 노선명은 대개 자동차도라는 노선명이 붙으나, 이것은 도로운송법에 근거한 자동차도가 아니고 도로법에 근거한 도로이다.
고속자동차국도의 도로명은 "○○ 고속도로" 또는 "○○ 자동차도"와 같이 불린다.[20] 도로명과 노선명이 다른 경우가 있다.
고규격 간선도로의 노선명은 "○○ 자동차도"라는 노선명이지만, 이는 도로운송법에 근거한 자동차도가 아니라, 도로법에 근거한 도로이다. 이는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건설법 제정 당시,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를 건설성 소관의 도로로 할지 운수성 소관의 자동차도로 할지에 대한 결론이 나지 않아, 결국 고속자동차국도법에 의해 "도로라는 것"이 규정된 경위에 따른 것이다.
"고속도로"라는 호칭이 사용되는 것은, 고속자동차국도에서는 도메이 고속도로, 신도메이 고속도로, 메이신 고속도로, 신메이신 고속도로뿐이지만, 이는 양 도로의 계획·건설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널리 민간에서 "고속도로"라는 통칭이 사용되어, 명명 시점에서 일반에게 가장 정착되어 있다는 역사적인 배경을 고려하여 예외적으로 채택된 것이다. 주오 자동차도도 "주오 고속도로"(조후 인터체인지 ~ 가와구치코 인터체인지 구간만)로 불렸지만, 그 명칭 때문에 교통사고가 빈발하여 개칭되었다. 안내용 명칭으로 ◯◯ 자동차도를 사용하게 된 것은 주고쿠 자동차도(고속자동차국도 주고쿠 종관 자동차도)가 처음이다.
5. 1. 한국의 고속도로 명명 규칙
6. 노선 번호 규칙 (고속도로 넘버링)
일본은 2016년에 고속도로 넘버링 시스템을 도입했다.[53][9] 고속도로 노선 번호는 국도 노선에 따라 번호가 매겨지며, 접두사 '''E''' 또는 순환 노선에 한하여 '''C'''가 붙는다.[9] 예를 들어 E1 도메이 고속도로는 국도 1호선과 나란히 달린다.[10]
하나의 국도 노선에 여러 고속도로가 나란히 달리는 경우, 더 새로운 고속도로 또는 국도에서 멀리 벗어나는 고속도로는 노선 번호 끝에 '''A'''를 붙인다.[10]산요 자동차도는 '''E2''', 주고쿠 자동차도는 '''E2A'''로 지정되었는데, 이는 국도 2호선을 따라 병행하면서 산요 고속도로가 해안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10]
넘버링 대상은 고규격 간선 도로 외에, 고규격 간선 도로망을 보완하여 지역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노선, 주요 공항·항만, 관광지로의 접근성을 위한 노선 등이다.[21][22] 이미 넘버링이 실시된 도시 고속도로는 대상에서 제외된다.[21][22]
번호 부여 규칙은 다음과 같다.[21][22]
"E+2자리 숫자" 형태가 기본이며, 고속도로와 대체로 평행하는 주요 일반 국도 (구 1급 국도 + 국도 58호선)와 같은 1자리·2자리 숫자를 부여한다. 번호는 평행하는 일반 국도의 기점과 종점 구간에 준하여 설정한다.
수도권·나고야권의 환상 고속도로는 "C+1자리 숫자"를 부여하며, 도쿄만 아쿠아라인·아쿠아 연락도는 예외적으로 "CA"를 사용한다.
병주하는 일반 국도가 3자리 번호이거나, 지역 고규격 도로에서 원래 소속된 일반 국도 번호가 중복되는 경우에는 "E+2자리 숫자" (고규격 간선 도로는 59번부터, 그 외 노선은 80번부터)를 부여한다.
2017년 2월 14일에 일부 개정된 「도로 표지, 구획선 및 도로 표시에 관한 명령」이 시행되면서 고속도로 번호 표지판이 신설되었다.
6. 1. 한국의 고속도로 노선 번호 규칙
7. 도로표지 및 안내표지
일본의 고속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의 도로표식은 1963년에 제정되어 녹색 바탕에 흰색 글자로 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24]
서체는 시인성을 중시하고 일본도로공단이 개발한 독자적인 서체의 '''도로공단표준문자'''(공단문자, 공단고딕)이라고 불리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1963년의 메이신 고속도로 개통에 임시 변통하는 형으로 실용화를 향해 표식에 사용하는 서체의 패턴이 몇종류인가 만들어져 시인성 등의 테스트가 행하여졌다. 공단문자는 표식으로서 게시했을 때 100km/h로 100-150m 앞에서 6초이내로 인식할 수 있게 제작되었다. 그 때문에 문자는 딱딱해 획수가 많은 문자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밸런스를 무너뜨려서 시인성을 확보하거나 하고 있기 때문에 대단히 독특한 문자다. 과거에는 문자를 생략했기 때문에 "틀리는 것이 아닐까" 라고 지적을 받은 적도 있다.
2010년 (헤이세이 22년)에는 레이아웃이 변경되어 일본어 서체는 히라기노, 혹은 신 고, 영문은 Vialog (비아로그), 숫자는 Frutiger (프루티거)가 되었고, 문자 크기가 기존보다 5cm 커졌다 (일본어로 55cm, 영어로 30cm). 새로운 레이아웃에서는 문자 크기가 커지고, 폰트가 변경됨으로써 시인성이 구형 표지보다 향상되었다. 구형 레이아웃에서는 영문이 일본어의 절반 이하 크기였던 데 반해, 새로운 레이아웃에서는 영문 크기가 일본어의 절반 이상의 크기가 되었다.
왼쪽부터 일반 도로(니가타 바이패스), 자동차 전용 도로(니가타 니시 바이패스), 고속 자동차 국도(호쿠리쿠도・간에쓰도)의 표지
7. 1. 한국의 고속도로 표지판
8. 역사
일본에서 고속도로 건설은 실업가 스가하라 쓰사이가 1929년에 도쿄-오사카 간 자동차 전용 도로 건설을 구상한 것이 시초이다.[52] 그러나 이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고, 1943년 내무성이 전국자동차국도계획을 책정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52]
전후 고도성장기에 들어서면서 고속도로 건설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956년 4월, 일본도로공단이 설립되었고,[2]1957년메이신 고속도로 건설이 시작되었다.[2]1963년7월 16일, 일본 최초의 고속도로인 메이신 고속도로 릿토 나들목 - 아마가사키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다.[3]1965년에는 메이신 고속도로의 나고야-한신 지구가 완공되었다.
1966년에는 의 전국 고속도로망 구축 계획이 제정되었다.[2] 이 계획은 1987년에 로 확장되었다.[5]2018년 4월 기준, 총 의 고속도로가 완공되었다.[5]
1956년 일본을 방문한 미국 왓킨스 조사단은 당시 일본의 열악한 도로 상황을 비판하는 "왓킨스 보고서"를 제출했다.[2] 이에 자극받은 일본 정부는 1957년 고속 자동차 국도법을 제정하여 고속도로 건설에 박차를 가했다.
일본의 고속도로는 1956년에 제정된 도로 정비 특별 조치법에 의해 유료도로 제도가 창설되어 원칙적으로 유료이다. 건설 비용은 차입금으로 충당하며, 요금 수입으로 상환한다. 메이신 고속도로와 도메이 고속도로의 부채는 1990년부터 완전히 상환되었다. 1972년에는 제1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에 의해 전국 요금 풀제(전국 노선망)가 도입되어, 모든 고속도로의 수지를 합산하여 차입금을 상환하는 방식이 채택되었다. 이는 도메이 고속도로나 메이신 고속도로의 수익으로 다른 적자 고속 노선의 차입금을 반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방음벽 설치 및 지진 방지 건설 방식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했다.[6] 2009년 3월, 아소 다로 총리는 주말 및 공휴일 통행료를 1,000엔으로 인하하는 계획을 발표했으며, 평일 통행료는 약 30% 삭감될 예정이었다.[6]
2002년 8월 7일, 도로 관계 4공단 민영화 추진 위원회는 고속도로 무료 개방을 단념하고, 일본 도로 공단 민영화에 따른 고속도로의 항구적 유료화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2005년 민영화 후 45년 이내에 차입금을 상환하고, 일본 고속도로 보유・채무 상환 기구를 해산하는 것이 의무화되었다. 민영화 당시 차입금은 약 40조 엔이었다.
2009년 중의원 의원 선거에서 고속도로 무료화를 공약으로 내걸었던 민주당이 압승했지만, JR이나 고속 버스, 페리 등 다른 교통수단 업계의 반발과[37][38] 사민당의 반대,[39] 민주당 내부의 우려[40] 등으로 인해 정책은 번복되었고, 민주당은 공약을 달성하지 못했다.
민영화 시점에서의 요금 징수 기간은 2050년까지였으나, 2014년에 구조물 노후화에 따른 수선 비용 마련을 위해 2065년까지 연장되었다.
일반 차량의 경우 도쿄에서 나고야까지 도메이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325.5km 구간의 통행료는 7,100엔이다.[11] 일본 타임스에 따르면, 일본의 고속도로 통행료는 프랑스보다 3배나 높다.[12]
2001년 기준으로 통행료는 150엔의 터미널 요금과 이동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요금으로 구성되며, 차량 유형별 요금은 다음과 같다.[2]
차량 유형
요금 (엔/km)
요금 (엔/마일)
경차 및 오토바이
19.68
31.49
일반 승용차
24.60
39.36
소형 및 중형 트럭
29.52
47.23
대형 트럭
40.59
64.94
특수 대형 풀 트레일러
67.65
108.24
통행료는 항상 가장 가까운 10엔 단위로 반올림되며 소비세가 포함된다. 입구에서 출구까지 두 개 이상의 가능한 경로가 있는 경우, 가장 짧은 (가장 저렴한) 경로를 기준으로 통행료가 계산된다.[2]
모든 경로에서 징수된 통행료는 단일 기금으로 통합되어 전체 네트워크를 상환하는 데 사용된다.[13] 일본의 모든 국도 고속도로는 민영화 후 45년(2050년) 이내에 완전히 상환될 것으로 예상되었다.[14]
신 직할 방식에 따라 건설되는 고속도로는 국가 및 지방 정부가 건설 부담을 흡수하고 완공 후 통행료 없이 운영할 예정이다.[15][16]
9. 1. 한국의 고속도로 건설비와 상환
10. 정비의 효과와 악영향
10. 1. 효과
고속도로 정비는 다양한 직·간접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고속도로 정비에 따른 직접 효과와 간접 효과
직접 효과
간접 효과
경제성
수송비 절감 주행 비용 절감
(1)생산 수송 계획의 합리화 (2)공장 진출, 공업 지대의 분산 (3)자원 개발 (4)도시 인구 분산 (5)정보, 유통 경제의 합리화 (6)시장권 확대 (7)수요, 공급량 증가
원활성
주행 시간 절약
안전성
교통사고 감소
쾌적성
운전자의 피로도 경감 교통 쾌적 증가
일본에 고속도로가 정비되면서 도시나 거점 간의 여행 시간이 대폭 단축되었고, 일반 도로에서 고속도로로 교통이 전환되면서 기존 도로의 혼잡이 해소되어 교통사고 감소를 가져왔다.。 안정적인 고속 주행으로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이산화 탄소(CO2) 감축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직접적인 효과에서 파생된 부차적인 간접 효과로, 도시 지역에서는 연중 양질의 신선한 채소와 수산물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해졌으며, 산지에서도 고속도로를 통해 대규모 시장으로 출하할 수 있게 되어 지역 브랜드력과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산업 경제 측면에서는,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한 좋은 입지 조건을 바탕으로 물류 재편을 가능하게 한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교통 인프라로서 기능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18년에 발생한 오사카부 북부 지진에서는 철도의 운행 중단 및 고속도로의 통행 금지가 잇따르는 가운데, 마이즈루와카사 자동차도만 통행이 가능했기 때문에 주부 지방 동쪽과 주고쿠 지방 서쪽의 교통 및 유통을 연결하는 중복성 기능을 발휘했다.
케인스 경제학에 기반한 유효 수요와 실업 대책으로서 공공 투자를 통한 고속도로 정비 과정에서 생산, 고용, 소비 등 경제 활동이 단기적으로 활발해지고 확대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경제 정책 중 하나로도 볼수 있다.
10. 2. 악영향
일본의 고속도로 건설은 여러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도로 건설은 주변의 자연 환경과 주거 환경을 악화시킬 수 있다.[42] 하천 위에 고가도로를 건설하면 하천 환경이 나빠지거나, 심지어 하천을 없애고 도로를 건설하여 경관을 해치는 경우도 있다.[42]권앙도에서는 환경 보호 단체와 혁신계 단체가 참여하는 공사 중지 운동이 빈번하게 발생하기도 했다.[42] 이러한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건설되는 도로에는 수목 식재대나 방음벽을 설치한 환경 시설대를 설치하기도 한다.[42]
통행량이 많은 도시나 주택 밀집 지역에서는 소음 문제가 심각하여, 고속도로 주변에 방음벽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42] 초기에는 임시 구조물 같았던 방음벽은 시노하라 오사무의 제안으로 무사 담장을 이미지한 디자인으로 개선되었고, 이후 투명 아크릴판 등을 사용한 방음벽 디자인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42]
고속도로는 일반 도로보다 건설 비용이 높고, 사회 정세에 따라 계획이 변경되거나 동결되는 경우가 많다.[42] 미착공 노선도 존재하며, 일부 구간만 개통되고 전체 노선 개통은 불투명한 경우도 있다.
고속도로에서는 운전자의 행동이 중대한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42] 차량에서 쓰레기를 버리거나 낙하물 문제가 발생하여 관리 단체의 경비 부담과 직원 안전 문제가 심각하다.[43][44][45] 국가공안위원회는 야간 고속도로에서 하이빔 사용을 권장하지만,[46] 여러 이유로 하이빔을 사용하지 않아 발생하는 2차 충돌 사고가 많다.[48][49] 정당한 이유 없이 로우빔으로 주행하다 2차 충돌을 일으키면 형사 책임은 없을 수 있어도, 민사 손해 배상 책임을 져야 할 수 있다.[50]판례에 따르면, 고속도로에서 로우빔으로 주행하다 2차 충돌을 일으킨 운전자가 3억 4천만 엔의 배상 책임을 진 사례가 있다.[50]
참조
[1]
웹사이트
Toll and Toll-free Roads in Current Arterial High-standard Highway Network
http://www.mlit.go.j[...]
2017-11-09
[2]
웹사이트
Transport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Japan and Korea: Drawing Lessons for the Philippines
http://www.bnm.gov.m[...]
2005-11
[3]
웹사이트
History of Japanese Roads
http://www.mlit.go.j[...]
2008-04-11
[4]
웹사이트
Roads in Japan - Metropolitan Ring Roads
http://www.mlit.go.j[...]
2008-04-11
[5]
웹사이트
道路:道の相談室:道に関する各種データ集 - 国土交通省
https://www.mlit.go.[...] [6]
뉴스
A highway system that ever exacts toll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2008-12-16
[7]
웹사이트
NEXCO-Central Business Outline
http://www.c-nexco.c[...]
2008-04-13
[8]
서적
Rules of the Road
Japan Automobile Federation
[9]
웹사이트
Japan's Expressway Numbering System
http://www.mlit.go.j[...]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of Japan
2017-08-22
[10]
웹사이트
What is the Expressway Numbering System?
http://www.mlit.go.j[...]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of Japan
2017-08-22
[11]
서적
Zen-Nippon Dōro Chizuchō
Tokyo Chizu Shuppan
[12]
웹사이트
Japan's ever-increasing 'temporary' road tolls are here to stay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16-04-09
[13]
간행물
Privatization of the Japan Highway Public Corporation: Policy Assessment
http://www-sre.wu-wi[...]
2008-04-11
[14]
웹사이트
Framework of Agency's Business
http://www.jehdra.go[...]
Japan Expressway Holding and Debt Repayment Agency
2008-04-13
[15]
웹사이트
Cooperation on New Direct Control System Sections (新直轄方式区間への協力 Shinchokkatsu Hōshiki Kukan e no Kyōryoku)
http://www.e-nexco.c[...]
2008-04-13
[16]
웹사이트
New Direct Control System (新直轄方式)
http://www.nishinipp[...]
Nishinippon Shimbun Wordbox
2008-04-13
[17]
웹사이트
Statistics about Road Traffic Annual report Yearly 2019 | File | Browse Statistics
https://www.e-stat.g[...] [18]
문서
交通の教則など
[19]
문서
地域高規格道路には自動車専用道路ではない道路(歩行者等も通行できる道路)も含まれるが、そのような道路は高速道路には含まれない。
[20]
웹사이트
国土交通省道路局 道の相談室
https://www.mlit.go.[...]
2009-12-09
[21]
뉴스
高速道路に路線番号---訪日外国人にも分かりやすく
https://response.jp/[...]
2016-09-15
[22]
문서
高速道路ナンバリングの実現に向けた提言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道路局
[23]
문서
1963年(昭和38年)に制定された。
[24]
웹사이트
財団法人道路新産業開発機構 道路行政セミナー3月号「より視認し易い高速道路案内標識を目指した標識レイアウトの変更について」(PDF)
https://www.hido.or.[...]
2011-09-18
[25]
웹사이트
全国自動車国道計画路線図
https://www.mlit.go.[...] [26]
뉴스
<5>県北の悲願 開通見えず | 新潟日報デジタルプラス
https://www.niigata-[...]
2022-03-30
[27]
문서
道路整備特別措置法附則第二条
[28]
서적
高速道路便覧 2007
[29]
서적
高速道路便覧 2007
[30]
서적
高速道路便覧 2007
[31]
서적
高速道路便覧 2007
[32]
서적
高速道路便覧 2007
[33]
서적
高速道路便覧 2007
[34]
서적
高速道路便覧 2007
[35]
서적
高速道路便覧 2007
[36]
서적
高速道路便覧 2007
[37]
뉴스
バス協会が高速無料化に反対 国交相に緊急要望書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09-10-19
[38]
뉴스
「高速無料化に断固反対」 関西フェリー7社が訴え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09-10-29
[39]
뉴스
マニフェスト一部凍結要求へ 社民、連立入りで民主に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09-09-02
[40]
뉴스
高速無料化、新幹線が候補 刷新会議の事業仕分け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09-10-29
[41]
웹사이트
フロー効果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19-07-28
[42]
뉴스
水の都再生へ 夢をつなぐ<1> 読売新聞 地域大阪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09-09-29
[43]
문서
[44]
간행물
高速道路における落下物が一向に減りません!
https://corp.w-nexco[...]
NEXCO西日本
[45]
간행물
路上障害物対応に関する取り組みについて
https://www.e-nexco.[...]
東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0-02-25
[46]
법령
国家公安委員会告示 【交通の方法に関する教則】「第7章第2節第3項の12」
https://www.npa.go.j[...] [47]
법령
国家公安委員会告示 【交通の方法に関する教則】「第6章第3節第2項の2」
https://www.npa.go.j[...] [48]
문서
[49]
문서
[50]
판례
福岡地裁 平成18年9月28日判決/判例時報1964号127p
[51]
웹사이트
일본 국토교통성 도로국 도로 상담실
http://www.mlit.go.j[...] [52]
웹사이트
전국자동차국도계획노선도
http://www.mlit.go.j[...] [53]
웹인용
고속도로 넘버링
http://www.mlit.go.j[...]
2018-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